 |
1)김대해(金大海, 1544~1592)
본관은 경주이며 자(字)는 홍도(洪濤), 호(號)는 소곡(召谷), 자양(自養)의 6세손. 1592년(선조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최인제(崔仁濟) 등 17의사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여러 고을을 탈환하고 경주(慶州)에 가서 싸우다가 전사했다. 형조 정랑(刑曹正郞)에 추증(追贈)되었다.
2)김연(金演, 1552~1592)
조선의 의병장. 본관은 경주이며 자(字)는 언홍(彦洪), 호(號)는 노암(魯庵), 영천출신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카 대해(大海), 유생 최인제(崔仁濟)·이일장(李日將)·정세아(鄭世雅)·정세번(鄭世蕃)·이영근(李榮根) 등과 의병을 일으켜 고향을 수복하고 경주로 진군, 다른 의병들과 연합하여 왜군과 싸우다 전사했다. 벼슬이 추증(追贈) 되고, 밀양(密陽)의 고천서원(古川書院)에 제향(祭享).
3)최인제(崔仁濟)
본관은 영천이며, 자는 성부(聖夫) 호는 만정(晩亭), 사간 최원도(崔元道)의 7세손이다. 임진왜란 당시 경주(慶州) 선천진에서 순절한 의사(義士)이며 경북 영천의 고천서원(古川書院)에 제향되었다. 병조정랑에 증직되었다.
4)정석남(鄭碩男, 1561~1592)
본관은 연일(延日)이며, 자는 대경(大卿) 호는 충효재(忠孝齋) 이조좌랑 치소(致韶)의 5세손이다. 임진왜란 당시 경주(慶州) 선천진에서 순절한 의사(義士)이며 경북 영천의 고천서원(古川書院)에 제향되었다. 공조정랑에 증직되었다.
5)이영근(李榮根)
본관은 영천(永川)이며 자는 경무(景茂), 호는 쌍계(雙溪), 대제학 석지(釋之)의 7세손이다. 임진왜란 당시 경주(慶州) 선천진에서 순절한 의사(義士)이며 행적을 모아 충현록을 간행하였다. 경북 영천의 고천서원(古川書院)에 제향되었으며 한성부 판관에 증직되었다.
6)이지암(李之馣)
본관은 성주(星州)이며, 자는 여욱(汝郁) 호는 사촌(沙村), 고려시중 만년(萬年)의 11세손이다. 임진왜란 당시 경주(慶州) 선천진에서 순절한 의사(義士)이며 그의 행적은 충현록으로 기록되어 간행되었다. 경북 영천의 고천서원(古川書院)에 제향되었으며, 한성부 판관에 증직되었다.
7)이일장(李日將)
본관은 벽진(碧珍)이며 자는 성보(誠甫), 호는 남전(藍田), 이조판서 건지(建之) 7세손이다. 임진왜란 당시 경주(慶州) 선천진에서 순절한 의사(義士)이며 그의 행적은 충현록에 기록되어 간행되었다. 의빈부 도사에 증직되었으며, 경북 영천의 고천서원(古川書院)에 제향되었다.
8)이득룡(李得龍)
본관은 벽진(碧珍)이며, 자는 사운(士雲), 호는 추계(楸溪)이며 남전공의 장질이다. 임진왜란 당시 경주(慶州) 선천진에서 순절한 의사(義士)이며 그의 행적을 모아 충현록을 간행하였다. 한성판관에 증직되었으며 경북 영천의 고천서원(古川書院)에 제향되었다.
9)이득린(李得麟)
본관은 벽진(碧珍)이며, 자는 성상(星祥), 호는 대재(大齋), 이득룡(李得龍)의 동생이다. 임진왜란 당시 경주(慶州) 선천진에서 순절한 의사(義士)이며 그 행적을 모아 충현록을 간행하였다. 한성판관 증직되었으며, 경북 영천의 고천서원(古川書院)에 제향되었다.
10)손응현(孫應睍, 1564~1592)
본관은 월성(月城)이며, 자는 자임(子任), 호는 남계(南溪) 판밀직사사 경원(敬源)의 7세손이다. 임진왜란 당시 경주(慶州) 선천진에서 순절한 의사(義士)이며 그의 행적을 모아 충현록을 간행하였다. 의빈부도사에 증직되었으며, 경북 영천의 고천서원(古川書院)에 제향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