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입석리 증촌 1056 |
|
 |
권 규(權 逵) 권문임(權文任) |
|
 |
1843년(헌종 9) |
|
 |
|
|
 |
입춘일(立春日) |
|
 |
|
|
|
|
 |
1843년(헌종 9) 단성현에 창건되었다. 권규(權逵)와 권문임(權文任)을 추모 향사하기 위해 창건되었다. 고종 5년(1868)에 훼철된 것을 1904년에 현 위치로 이전 복원하여 향사하고 있다. 서원을 서당으로 부르는 것은 훼철을 피하기 위해서였던 것 같다. 이 서원에 배향된 두 사람 중 권규는 일찍이 벼슬을 버리고 학문에 정진하여 이황(李滉)과 조식(曺植) 양 문하를 출입하였으며, 권문임 역시 조식의 문인이면서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다. 문산서당 중수기에는 경종 신축년(1721)에 권중만이 종족들과 힘을 합쳐 석대산(石臺山) 산자락에 서당을 세우고 문산이라 이름 하였으며, 1846년(헌종 12)에 중건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
|
 |
1)권규(權逵, 1496~1548)
자는 자유(子由), 호는 안분당(安分堂)이다. 시득(時得)의 아들이다. 명종 때 재랑(齋郞)에 천거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조식, 이황과 종유하였으며 ≪안분당실기≫가 전한다.
2)권문임(權文任, 1528~1580)
자는 흥숙(興叔), 호는 원당(源塘)이다. 규(逵)의 아들이다. 선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검열을 역임하였다. 조식의 문인이며 ≪花山世紀≫에 문집이 전한다.
|
|
 |
건물의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2칸이다. 지붕은 현재 슬레이트로 되어 있으며, 기둥의 형태는 외진주가 원기둥이고 내진주는 네모난 기둥이다. 방은 두 칸의 대청을 사이에 두고 오른편에 1개, 왼편에 2개 있다.
|
|
 |
|
|
 |
참고-산청군지, 2006.
산청문화원,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