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장연서원(長淵書院)
   전라남도 나주군 남평읍 풍림리 720
   문다성(文多省) 문 유(文 猷) 문극겸(文克謙) 문유필(文惟弼) 문익점(文益漸)
   1734년(영조 10)
   
   (음)9월 중정
   
장연서원은 남평의 대표적 성씨인 남평문씨(南平文氏)의 시조인 무성공 문다성(武成公 文多省)을 비롯함 문유, 문극겸, 문유필, 문익점 등 다섯 분의 위패를 모신 서원이다. 이 서원 건립의 유서가 마련된 것은 1734년(영조 10) 세워졌던 장연사(長淵祠)로부터이다.이곳 장연서원이 자리한 풍림리는 장자지(長者池)가 있던 곳으로 시조인 문다성의 탄강설화가 구전되는 곳이다. 구전의 내용은 기록상 전거가 불분명하나 그 구전 시기는 매우 빠르다.
이 장연서원의 창건에 대해 문중사람들은 1734년(영조 10)이라 말하나 실제로는 구보다 훨씬 뒤에 이루어졌다. 즉 ≪장연서원지≫내용 가운데 <영묘 49년 임진사실추록>조에 의하면 그 사실이 쉽게 확인된다. 1772년(영조 48)에 장흥, 능주, 영암, 보성, 광주 등 남평문씨 후손들이 순찰사(巡察使)에게 올린 상서에는 문다성을 건사치제(建祠致祭)함이 후손들의 당연한 도리이나 뜻만 있지 실행에 옮기지 못한지 오래임이 토로되어 있다. 또한 이보다 앞선 1770년(영조 46)에 만들어진 성균관의 통문과 관의 제사(題辭)에도 그 아쉬움이 천명되어 있고 각읍의 자손들이 남평 운흥사에 모여 건사의 통문을 올린 것도 이때였다.
결국 1772년(영조 48)에 올린 상서에 대해 순찰사는 협조와 지원을 허락하였다. 그리고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그로부터 그리 멀지 않은 시점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볼 때 사우는 1772년 이 후 얼마 지나지 않은 18세기 후반경에 세워졌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건물은 1871년(고종 8) 서원훼철령으로 훼철된 뒤 1923년부터 전반적으로 다시 세워지기 시작하여 규모를 일신하였고1975년 대대적인 중개수를 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1)주벽-문다성(文多省)
문다성은 신라 제20대 왕인 자비 마립간 때의 인물로, 현재의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면인 남평현 출신이었다. 신라 지증왕과 진흥왕,진지왕 대에 걸쳐 고위 관직을 지내고 남평 문씨의 시조가 되었다. 갓난아기 때 남평현의 장자못이라는 연못가의 높은 바위 위에서 발견되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장자못가에 문암(文巖)이라는 전설 속의 바위가 남아 있다.
 
2)문유(文猷)
본관은 남평이며, 조선시대 대사성에 임명되었다.
 
3)문극겸(文克謙, 1122∼1189)
고려 중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자는 덕병(德柄).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집현전대학사 경정공(敬靖公) 공유(公裕)의 아들이다.
큰아버지 공인(公仁)의 음보(蔭補)로 산정도감판관(刪定都監判官)이 된 뒤 여러 번 과거에 낙방하다가 의종 때 급제하였다. 여러번 자리를 옮겨 좌정언(左正言)이 되어서 전횡을 자행하던 환자(宦者) 백선연(白善淵)과 탐욕을 일삼던 술인(術人) 영의(榮儀) 등을 탄핵하다가 황주판관으로 좌천되었다. 이때 왕 측근자의 모함으로 다시 진주판관으로 좌천되려다가 “직신(直臣 : 국정이 혼란할 때에 기탄없이 임금의 과실을 말하는 자)을 외관(外官)으로 좌천하는 것은 언로(言路)를 막는 것”이라는 유사(有司)의 상주(上奏)로 안으로 들어와 각문지후(閣門祗候)가 되었고 다시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가 되었다. 1170년(의종 24) 정중부(鄭仲夫)의 난 때 죽임을 당할 뻔하였으나 앞서 좌정언으로 있을 때 백선연 등의 비행을 탄핵해 좌천된 것이 직신으로 알려져 화를 면했으며, 의종이 거제도로 추방될 때 문극겸의 말을 따르지 않았음을 후회하였다고 한다. 명종이 즉위하자 이의방(李義方)의 추천으로 우승선(右承宣)·어사중승(御史中丞)이 되어 이공승(李公升) 등 많은 문신들의 화를 면하게 하였다. 무신들에 대해 고사(故事)의 자문에 응하였으며, 뒤이어 용호군대장군(龍虎軍大將軍)을 겸하였다. 그 뒤 재상이 되었을 때에도 상장군을 겸해 무신정권기에 문신으로 문무를 겸하는 독특한 존재가 되었다. 딸을 이의방의 아우 인(璘)에게 출가시켰으며 이 때문에 계사의 난에 일족이 다 화를 면하였다. 다시 대부소경(大府少卿)에 이어 예부시랑이 되었으며, 1173년 예부시랑으로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지공거 윤인첨(尹鱗瞻)과 함께 최시행(崔時幸) 등 진사 32인을 뽑았다. 뒤에 추밀원사가 되었는데, 1179년(명종 9) 송유인(宋有仁)과 틈이 생겨 수사공좌복야(守司空左僕射)로 좌천되었다. 1180년 태자소사(太子少師)가 되었고, 이듬해 수태위(守大尉)가 되었으며, 1183년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郎平章事)·판호부사(判戶部事)가 되었고, 이듬해 참지정사(參知政事)로 지공거가 되어 금극의(琴克儀) 등 진사 31인과 명경(明經) 5인을 선발하였다. 1185년 판예부사(判禮部事)가 되어 아상(亞相)이 되었으며, 다시 수국사(修國史)·판병부사(判兵部事) 등을 거쳐1187년 권판상서이부사(權判尙書吏部事)가 되었다. 명종 묘정(廟庭)에 배향되었고,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4)문유필(文惟弼, ?∼1228)
고려 후기의 문신·재상. 본관은 남평(南平). 의종 때 지문하성사 집현전대학사(知門下省事集賢殿大學士)를 지낸 공유(公裕)의 손자로, 명종 때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郎平章事)를 지낸 극겸(克謙)의 아들이다.
벼슬에 나아간 시기와 방법은 확인되지 않으며, 1216년(고종 3) 추밀원사(樞密院使)로서 이미 재추의 반열에 올라 있었다.
1220년 독직사건(瀆職事件)에 관계되어 안서부사(安西副使)로 좌천되었으나, 다음해 곧 수사공 좌복야(守司空左僕射)로 승진하였다. 그뒤 순탄한 관로를 밟아 1222년 지문하성사, 1227년 참지정사 판예부사(參知政事判禮部事)가 되었으며, 다음해 지문하성사로 있다가 별세하였다.
 
 
5)문익점(文益漸, 1329∼1398)
고려 말의 문신·학자. 본관은 남평(南平). 첫 이름은 익첨(益瞻). 자는 일신(日新), 호는 삼우당(三憂堂). 강성현(江城縣:지금의 경상남도 산청) 출생. 숙선(淑宣)의 아들이다. 1360년(공민왕 9) 문과에 급제하여 김해부사록(金海府司錄)과 순유박사(諄諭博士) 등을 지냈다.
1363년 사간원 좌정언(司諫院左正言)으로 있을 때 서장관이 되어 계품사(啓稟使) 이공수(李公遂)를 따라 원나라에 갔다. 때마침 원나라에서 벼슬을 하고 있던 고려 사람 최유(崔濡)가 원나라에 와 있던 충선왕의 셋째 아들 덕흥군(德興君)을 왕으로 옹립하고 공민왕을 몰아내려 하고 있었다. 실제로 원나라는 덕흥군을 고려왕으로 봉하였고, 최유는 원나라의 군사 1만 명을 얻어 요동(遼東)까지 진군해 왔으나 1364년 1월 최영(崔瑩) 등에게 패하였다.
정치적 격동기에 원나라에 갔던 문익점은 덕흥군을 지지했다는 혐의로 귀국과 동시에 파직되었다. 원나라에서 귀국할 때 그는 종자(從者) 김룡(金龍)을 시켜 밭을 지키던 노파가 막는 것을 무릅쓰고 목화 몇 송이를 따서 그 종자를 붓대 속에 넣어 가지고 돌아와 장인 정천익(鄭天益)에게 나누어 주고 함께 시험 재배를 하였다. 처음에는 재배기술을 몰라 한 그루만을 겨우 살릴 수 있었으나 3년간의 노력 끝에 드디어 성공하여 전국에 목화씨가 퍼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목화씨를 어떻게 제거하고 실을 어떻게 뽑을지 모르던 중 때마침 정천익의 집에 머물던 호승(胡僧)에게 물어 씨를 빼는 씨아와 실을 뽑는 물레 만드는 법을 배워 의복을 짜서 입도록 하였다.이처럼 문익점은 정천익과 더불어 목화 종자의 도입, 시험재배 성공, 종자의 전국적 보급, 목화섬유를 이용한 의료제조 등 그 공로는 참으로 컸다. 조식(曺植)은 문익점의 그 공을 기려 훗날 “백성에게 옷을 입힌 것이 농사를 시작한 옛 중국의 후직씨와 같다(衣被生民 后稷同).”는 시를 지어 찬양한 바 있다. 공민왕이 죽고 우왕이 즉위하자 그는 곧 전의주부(典儀主簿)가 되었고, 창왕 때는 좌사의(左司議)로 왕 앞에서 강론을 하기도 하였다. 이때 이준(李遵) 등이 사전(私田)을 다시 세우도록 함은 옳지 않다고 상소한 바 있는데, 문익점은 병을 핑계로 이에 가담하지 않았다. 문익점은 이색(李穡)·이림(李琳)·우현보(禹玄寶) 등과 더불어 사전 혁파를 비롯한 이성계(李成桂) 일파의 전제개혁을 반대했던 것이다. 문익점은 이 사건으로 조준(趙浚)의 탄핵을 받아 관직에서 물러났다.
그는 사후 조선 태종 때 참지정부사(參知政府事) 강성군(江城君)에 추증(追贈)되었고, 1440년(세종 22) 영의정과 부민후(富民侯)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선공(忠宣公)이다. 또한 그의 고향 단성의 도천서원(道川書院)과 전라남도 장흥의 월천사우(月川祠宇)에 사당이 세워졌다.
문익점이 목화씨를 가지고 와 재배에 성공하고 이를 가공하여 의복을 짓게 된 경로를 밝힌 기록은 조식이 쓴 ≪목면화기 木棉花記≫에 있으며, 이 책은 규장각도서에 있다.

경내 건물로는 사당인 상덕사(尙德祠)가 있고, 문익점 선생의 영정(1928년 蔡龍臣 作)을 모신 영당과 내삼문인 양춘문(陽春門), 강당인 악강당(嶽降堂), 오사재(五思齋), 외삼문인 영호루(永壺樓)가 있다. 이외에 오선생기적비, 장연서원창건기념비, 광산군화수회비 등이 외삼문 밖에 있다.

<五先生紀蹟碑>(1975), <장연서원창건기적비>, <光山郡花樹會碑>
참고-나주시지1,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