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문헌서원(文獻書院)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
   이 곡(李 穀) 이 색(李 穡) 이종덕(李種德) 이종학(李種學) 이 자(李 耔) 이 개(李 塏)
   1594년(선조 27)
   1611년(광해군 3)
   3월, 9월 중정(中丁)
   충청남도문화재자료 제125호(1984.05.17지정) 목은이색영정-보물 제1215호(1995.03.10지정) 가정목은선생문집판-충청남도유형문화재 제77호(1978.03.31지정) 목은선생신도비-충청남도문화재자료 제127호 (1984.05.17지정)
문헌서원은 이 지역을 본관지로 하는 한산이씨 명조 선현 6위를 제향하는 서원으로 기산면 영모리에 있다. 최초창건은 1594년(선조 27)으로 전해지며 처음 이름은 ‘효정사(孝靖祠)’이다. 1611년(광해군 3)에

1)주벽-이곡(李穀, 1298∼1351)
본관은 한산, 자는 중보(仲父), 호는 가정이라 하였으며 이자성(李自成)의 아들이고 이색(李穡)의 아버지이다. 일찍이 원나라 제과에 급제하였고 재상들의 건의로 한림국사원검열관이 되어 중국의 학자들과 교유하고 귀국하여 정당문학이 되고 후에 한산군에 피봉되었다. 이제현과 함께

구릉지에 배치된 문헌서원은 크게 2개의 공간으로 구분된다. 하나는 강당과 서재가 배치된 ‘강학공간’이고, 다른 하나는 강학공간 뒤 한단 높은 구릉을 대지로 조성하여 사당을 배치한 묘당공간이다. 배치좌향은 진좌술향(辰座戌向)인데 이는 흔치않은 서북향이다. 지형조건에 따른 것 같다.
전면에 9개의 계단이 들어있는 외삼문을 들어서면 중정이 있고 중정을 앞에 두고 강당과 서재가 배치된다. 강당은 전면을 향하고, 서재는 강당 앞에서 직각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2개의 건물을 에워싸고 담이 둘러져 있다.
강당 바로 뒤편에 사당을 들어가는 내삼문이 높은 단위에 배치된다. 내삼문을 들어서면 또 하나의 담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사당이 그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외삼문에서 사당에 이르는 일직선상에 중심축을 형성하고, 외삼문·강당·내삼문·사당이 좌우대칭이고, 다만 강당 앞에는 동재 없이 서재만 있어 배치에 있어서 비대칭이다. ‘전학후묘’식 배치이다.
 
1)사당
정면 3칸, 측면 3칸인데 전면 1열은 퇴칸으로 하여 정면을 개방해 두었다. 측면 하부는 벽을 두어 막고 기단은 흙바닥으로 마감해 두었다. 1고주 5량집구조이고 겹처마 맞배지붕이다.
 
2)강당(진수당)
외삼문을 들어서면 마주보이는 건물이다. 정면 4칸, 측명 3칸의 평면에 가운데 2칸통을 대청으로 하고, 양 측면에는 온돌방을 두었다. 1고주 5량집으로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3)서재
정면 4칸, 측면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평면의 2칸은 온돌방이고 온돌방 전면열은 퇴칸으로 만들어 마루를 깔았다. 나무지 2칸통은 부엌으로 사용한다.
 
4)외삼문
구릉지를 이용하여 한단을 높여 대지를 조성하고 계단을 설치한 다음 정문인 외삼문을 세웠다. 정면 3칸, 측면 1칸이고 3량 구조의 홑처마 맞배지붕 평삼문 형식이다.
 
5)묘문
사당 앞에 5칸, 측면 1칸의 문간채를 배치하였다. 출입은 가운데 3칸으로 하고 양측 1칸씩은 제기고로 사용하고 있다. 가운데 어칸은 솟을삼문과 같이 높게 만들었는데 겹처마이다.

1)가정목은선생문집판-충청남도유형문화재 제77호(1978.03.31지정)
고려 후기의 대학자인 가정 이곡(稼亭 李穀)과 그의 아들 목은 이색(牧隱 李穡)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이곡은 이제현의 문인으로 도첨의찬성사를 지내고 한산군으로 봉해졌다. 이색은 성균관 대사성을 지낸 성리학자로서 포은 정몽주, 야은 길재와 함께 고려가 망할 때 태조 이성계에 굴하지 않고 절개를 지킨 삼은(三隱)으로 불린다. 현존하는 목판은 975판이 있으며, 문헌서원 장판각에 보존되어 있다.
이 목판은 한국문화사 뿐만 아니라 국문학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2)목은이색영정-보물 제1215호(1995.03.10지정)
목은 이색(牧隱 李穡)의 영정은 1404년 제자인 양촌 권근(陽村 權近)에 의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