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한국의 9대서원 - 남계서원


 
작성일 : 12-09-16 14:18
남계묘정비(灆溪廟庭碑)
 글쓴이 : 관리자
조회 : 5,563  


청장관전서 제69권



한죽당섭필 하(寒竹堂涉筆下)


남계묘정비(灆溪廟庭碑)
 
남계서원(灆溪書院)은 문헌공(文獻公) 정일두(鄭一蠹 일두는 정여창(鄭汝昌)의 호) 선생을 향사(享祀)하는 곳이다. 그 봉사손(奉祀孫) 덕제(德濟)가 묘정비(廟庭碑)를 세웠는데 비문은 본암(本菴 김종후(金鍾厚)의 호)이 지었다.
이 비문을 두고 마을의 대성(大姓)과 사족(士族)들의 비판이 거세게 일어났다. 이는 비문 내용에 성리학(性理學)의 도통(道統)을 열서(列書)하면서 회재 선생(晦齋先生 회재는 이언적(李彦廸)의 호)을 기록하지 않은 것은 본암(本菴)의 과실이라 하였다. 이어서 그렇게 쓰도록 종용한 덕제의 허물도 따졌다.
덕제가 부득이 본암에게 개찬(改撰)을 청하자, 본암이 드디어 제현(諸賢)을 차례로 기록한 것을 삭제하고 다만 ‘예닐곱 분이 나왔다.’고 써서 그대로 비석에 새겼다.
그러나 사론(士論)은 오히려 ‘예닐곱 분이 나왔다.’고 한 ‘예닐곱’ 중에는 또 회재를 넣지 않으려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고 여기고 비판의 소리가 더욱 거세져서 노씨 선국(盧氏宣國)이 도끼로 비문을 찍어 본암의 이름을 깎아냈다. 정씨(鄭氏)는 감사에게 고소하였고 이어 선국(宣國)은 함양(咸陽) 옥에 갇혔다. 지금까지 두세 명의 감사가 바뀌도록 모두 이 사건의 해결을 보지 못하고 있다. 정씨의 말에 의하면,

“마을 사족(士族)의 조상들 가운데 이 서원(書院)의 창건에 공이 있는 이가 많은데 비문에는 다만 강개암(姜介菴 개암은 강익(姜翼)의 호)만을 일컫고 다른 사람은 조금도 언급되지 않았으므로 쟁론(爭論)의 단서가 생긴 것이다.”
하고, 사족(士族)들의 말에 의하면,

“정씨가 사림(士林)들과 의론하지 않고 밤중에 비를 세웠으므로 공론들이 좋지 않다.”
하였다. 그 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灆溪書院廟庭碑
我東自箕子以夷爲華旣二千有餘年而儒學猶蔑蔑高麗有一鄭圃隱而論者或以忠節掩之當時盖未知尊也其卓然爲斯道倡接墜緖於中土者實自寒暄金先生一蠧鄭先生始繼之以諸老先生六七作至于今磊落燀爀而天下道統之傳歸于我矣猗歟盛哉然而金鄭二先生皆遘禍言論風旨不甚顯此學者所以想慕痛慨於千載之下者也鄭先生世居咸陽子孫尙傳守焉嘉靖年間有介菴姜先生翼倡議立蘫溪書院以祠先生丙寅賜額蓋國朝之有書院創于周武陵之竹溪而蘫溪次之嗚呼先生者學者之祖也蘫溪者書院之宗也豈復有尙於此者乎書院之作踰二百年而庭無碑諸生方謀伐石刻辭以竪之徵文於鍾厚鍾厚不敢以匪人辭謹按先生事行大致略著於實紀而其英姿異行見聞皆服斯固大賢之一節至若究貫經子辨析性氣則秋江南公贊述備矣後生小子何敢更容模象也哉其旌褒則發自靜菴先生以及鄭文翼公光弼李文忠公元翼相繼陳于朝遂於萬曆庚戌從祀孔子廟庭肅宗乙卯以鄭桐溪先生配享書院己巳又享以姜介菴皆多士疏請得命也介菴先生少斥弛不覊變而之道醇如也誠孝出天學造精微立法以貴自得務勉强爲主用薦除昭格署參奉未拜而卒時年四十餘而同時儕流推之爲老成宿德焉桐溪先生諱蘊擧進士薦以行誼尋擢文科官至吏曹參判正色直言以立朝廢主時斥殺弟錮母妃之議竄濟州十年後當仁祖丙子在南漢圍中屢抗章力爭和虜不得則抽佩刀剚腹不殊屛居巖谷以終遂以身負天下萬世綱常之重噫鄭先生之道尙矣若姜鄭二先生或以篤學或以峻節皆從與享之斯可以永垂來後而不泯何待碑哉雖然從今以往入是院而睹是碑者爲激感於諸先生之道德節義而知自勵入而孝順於家於鄕出而忠於國則碑亦有助矣諸君子盍相與勉之
 
남계서원묘정비.jpeg


 


 
“우리나라는 기자(箕子)가 미개한 나라[夷狄]를 문명국[中華]으로 만든 이후 2천여 년 동안에 유학(儒學)은 존재가 없었다가 고려(高麗)에 와서 정포은(鄭圃隱 포은은 정몽주(鄭夢周)의 호)한 사람이 있었으나 논자(論者)들은 그의 충절(忠節)만을 말하고 유학은 덮어두고 말하지 않았으니, 당시에는 대체로 유학을 높일 줄을 몰랐던 것이다.
이에 우뚝이 사도(斯道)를 위하여 땅에 떨어진 유학의 실마리를 중국에서 이어온 이는 실로 한훤(寒暄 김굉필(金宏弼)의 호) 김 선생(金先生)과 일두(一蠹) 정 선생(鄭先生)을 필두로 하여 이를 이은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호)ㆍ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호)ㆍ율곡(栗谷 이이(李珥)의 호)ㆍ우계(牛溪 성혼(成渾)의 호)ㆍ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호)ㆍ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호)ㆍ동춘(同春 송준길(宋浚吉)의 호) 제선생(諸先生)이 대대로 일어나 지금에 이르기까지 크게 빛나서 천하의 도통(道統)이 우리나라에 돌아왔으니 아름답고도 훌륭하구나.
그러나 김(金)ㆍ정(鄭) 두 선생은 모두 화를 입어 언론(言論)과 풍지(風旨)가 크게 드러나지 못하였으니, 이것이 학자들이 오래도록 사모하고 가슴아파하는 이유이다. 정 선생(鄭先生)은 함양(咸陽)에 세거(世居)하였으므로 그 자손이 아직도 그곳에 살고 있다. 가정(嘉靖 명 세종(明世宗)의 연호) 연간에 개암(介菴) 강익(姜翼) 선생이 발론하여 남계서원을 세워 선생을 제사하였고, 병인년(1566, 명종 21)에 사액(賜額)되었다.
대개 우리나라에 서원(書院)이 있게 된 것은 주무릉(周武陵 무릉은 주세붕(周世鵬)의 별호)의 죽계서원(竹溪書院)이 최초이고 남계서원이 그 다음이다. 아, 선생은 학자의 모범이고 남계는 서원의 으뜸이다. 어찌 이보다 더할 것이 있겠는가?
서원을 창건한 지 2백여 년이 지나도록 비를 세우지 못했는데 이제 여러 선비들이 돌을 다듬고 비문을 새겨 세울 것을 의론하고 종후(鍾厚)에게 비문을 짓기를 청하므로 종후는 감히 적임자가 아니라고 사양할 수 없었다.
삼가 상고하건대, 선생의 사업(事業)과 행실(行實)의 대체(大體)는 《실기(實紀)》에 대략 나타나 있다. 그 영특한 자질과 탁월한 행실은 보고들음에 모두 탄복하겠으니, 이는 진실로 대현(大賢)의 일절(一節)이라 하겠으며, 경(經)ㆍ자(子)를 연구하고 성정(性情)과 이기(理氣)를 명백히 분석한 것 등은 추강 남공(秋江南公 추강은 남효온(南孝溫)의 호)의 찬술(撰述)에 자세히 갖추어 있으니, 후생이 어찌 감히 다시 이를 본떠서 말하겠는가?
공을 정려(旌閭)하고 포장(褒獎)한 것은 정암(靜庵) 선생에서부터 문익공(文翼公) 정광필(鄭光弼)ㆍ문충공(文忠公) 이원익(李元翼)에 이르기까지 조정에 계속 건의하여 마침내 만력(萬歷) 경술년(1610, 광해군 2)에 공자묘(孔子廟)에 배향되었다. 이는 모두 여러 선비들의 소청(疏請)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개암(介菴)은 젊어서 구속되는 바 없이 행동하였으나 자라서는 기질을 변화시켜 도(道)로 들어가서 마침내 순후(醇厚)하게 되었다.타고난 효성에다 학문은 정미(精微)한 경지에 이르렀고 법도를 세움에는 스스로 터득하는 것을 주로 삼았다.
천거에 의해 소격서 참봉(昭格署參奉)에 임명되었는데, 임명되고 나서 곧 죽었다. 이때 겨우 40여 세였으나 당시의 동료들이 모두들 노성(老成)한 숙덕(宿德)으로 높였다.
동계(桐溪) 선생의 휘는 온(蘊)이다.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고 행의(行誼)로 천거되었다. 얼마 후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이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이르렀다.
조정에서는 엄정한 태도로 곧은 말을 잘하였고 폐주(廢主 광해군) 때에는 아우를 죽이고 모비(母妃)를 금고(禁錮)하는 의론을 반대하다가 10년 동안이나 제주도에서 귀양살았다.
그후 인조(仁祖)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에는 여러 번 소를 올려 오랑캐와 강화하는 것을 간쟁하다가 되지 않자 차고 있던 칼을 뽑아 할복(割腹)을 기도하였으나 미수에 그쳤다.
그 후로는 은퇴하여 산속에서 세상을 마침으로써 천하 만대의 막중한 강상(綱常)을 한 몸에 짊어졌다. 아, 정 선생의 도는 높기도 하였고 강ㆍ정(姜鄭 강익ㆍ정온) 두 선생은 하나는 독학(篤學)으로, 하나는 높은 절의로써 모두 여기에 모셔지게 되었으니, 이는 길이 후세에 썩지 않을 만하다. 어찌 비석을 세워야만 전할 것이겠는가. 그렇지만 이후로 이 서원에 들어와서 이 비를 보는 사람들이 이 비로 해서 여러 선생들의 도덕과 절의에 감격하여 스스로 힘쓸 바를 알아, 들어와서는 집에서 효도하고 마을에서 공순하며 나가서는 나라에 충성한다면 이 비를 세우는 것 또한 도움됨이 있을 것이다. 여러 군자들이여, 어찌 서로 면려(勉勵)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후학(後學) 청풍(淸風) 김종후(金鍾厚)가 짓고 황운조(黃運祚)가 쓰다.
 
 
[주D-001]김(金)ㆍ정(鄭) …… 화를 입어 : 김ㆍ정은 김굉필(金宏弼)과 정여창(鄭汝昌). 이들은 모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연산군(燕山君) 4년(1498)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김종직의 일파로 몰려서 김굉필은 희천(熙川), 정여창은 종성(鍾城)에 각기 유배되었고, 그 후 다시 갑자사화(甲子士禍 : 1504)가 일어나 김굉필은 사사(賜死)되고 정여창은 이미 죽은 뒤였으므로 부관참시(剖棺斬屍)된 것을 말한다.
[주D-002]죽계서원(竹溪書院) : 주세붕(周世鵬)이 안향(安珦)을 제사하기 위해 세운 소수서원(紹修書院)이 순흥(順興)의 죽계(竹溪)에 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주D-003]실기(實紀) : 정구(鄭逑)가 인조(仁祖) 13년(1635)에 엮은 것으로 1책이다. 정식 명칭은 《문헌공실기(文獻公實紀)》.
[주D-004]추강 남공(秋江南公)의 찬술(撰述) : 《秋江集 師友名行錄》에 “정여창(鄭汝昌) …… 지리산에 들어가 3년간 나오지 않고 오경(五經)을 연구하여 그 깊은 진리를 다 터득, 체(體)와 용(用)은 근원은 한가지이지만 갈린 끝만이 다르고, 선(善)과 (惡)의 성(性)은 같으나 기질이 다르다는 것을 알았다 …… 그의 성리학은 누구나 존경하였다 …… ”고 한 것을 말한다.